<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1일 최고인민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통일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대남·대미 발언에 대해 “정부는 긴 안목을 갖고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통해 남북 간 적대성 해소와 평화적 관계 발전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는 북측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것도 없음을 다시 한 번 밝힌다. 북미대화 지원 등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미 간 접촉 가능성이 거론되는 데 대해서는 “그런 상황에 대해 예단하지 않겠다”고만 답했다.
앞서 노동신문에 따르면, 김정은 위원장은 전날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이른바 ‘적대적 두 국가’ 인식을 재확인하며 핵 포기 불가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한국과 마주앉을 일이 없으며 그 무엇도 함께 하지 않을 것”이라며 “국익의 견지에서 볼 때 우리는 정치, 국방을 외세에 맡긴 나라와 통일할 생각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또 “절대로 핵을 내려놓지 않을 것”이라며 제재 완화를 위한 협상에도 선을 그었다.
김 위원장은 다만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린다면 대화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현 미국 대통령 트럼프에 대한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고 개인적 소회를 덧붙였다.
구 대변인은 김 위원장의 ‘제재’ 관련 발언과 관련해 “북한은 과거 비핵화와 대북제재 완화·해제를 협상하겠다는 자세를 보였으나, 이제는 그러한 방식이 통하지 않는다고 강조하는 차원에서 제재를 여러 차례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향후에도 대화의 문을 열어두되, 원칙적 입장과 국제 공조를 바탕으로 한반도 평화 정착 노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 저작권자 ⓒ 한반도프레스(KPP).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동호 기자 ( 북한전문기자 ) 다른글 보기 kppress@naver.com# 태그 통합검색